본문 바로가기
경제

[경제] 연금저축 다음? 직장인이라면 IRP를 열어야 하는 이유

by AROID 2025. 4. 15.
반응형

 

🏦 IRP, 나도 가입해야 할까요?

연금저축펀드랑 뭐가 다른지, 어떤 게 먼저인지 궁금하다면

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자주 등장하는 단골 키워드, IRP.
하지만 IRP 외에도 연금저축펀드라는 선택지도 있어
어떤 걸 먼저 시작해야 하는지 헷갈리시는 분들 많으시죠?

이번 글에서는 IRP가 어떤 상품인지, 누구에게 유리한지,
그리고 연금저축펀드와의 우선순위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IRP(개인형 퇴직연금)란?

개인이 퇴직금 또는 개인 납입금을 직접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 계좌입니다.

  • 직장인의 퇴직금을 수령해서 굴릴 수도 있고
  •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도 자유롭게 개설 가능
  • 세액공제 + 노후 준비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상품

🙋‍♂️ 누가 가입하면 좋을까요?

  • 퇴직연금 외에 추가 노후 준비를 하고 싶은 직장인
  • 연금저축펀드를 이미 최대 한도 채운 분
  • 회사 퇴직금을 IRP에 입금해 운용하려는 분

👉 쉽게 말해 "세금도 아끼고, 은퇴 준비도 하고 싶은 사람"이라면 IRP는 좋은 선택입니다.


💰 세액공제 한도 & 공제율

  • 연금저축펀드 한도: 연 최대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 대상
  • IRP 한도: 연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대상
  • 두 계좌 합산 시, 세액공제 한도는 총 900만 원

예를 들어,

  • 연금저축펀드 600만 원 + IRP 300만 원 = 900만 원 세액공제 가능
  • 연금저축펀드 400만 원 + IRP 500만 원 = 900만 원 세액공제 가능

세액공제율

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: 16.5%
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: 13.2%

💡 즉, 최대 공제금액은 148만 5천 원(16.5%)까지 받을 수 있어요.


🔄 IRP vs 연금저축펀드, 우선순위는?

구분 연금저축펀드 IRP
세액공제 한도 600만 원 900만 원
계좌 합산 공제한도 최대 900만 원
중도 인출 일정 조건 하에 가능 매우 제한적
(퇴직·연금 사유만 허용)
수수료 낮은 편 금융사 따라 수수료 부과 가능
운용 가능 상품 펀드, ETF 등 예금, 펀드, ETF 등
(조금 더 제한적)

👉 결론: 연금저축펀드를 먼저 시작하고,
추가 공제 혜택을 노릴 때 IRP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전략입니다.


📈 IRP의 장점은?

  • 연 최대 900만 원 세액공제
  • 퇴직금 운용 + 개인 납입 모두 가능
  • ETF, 펀드, 예금 등 다양한 운용 선택 가능
  • 연금 수령 시 분리과세 적용 (3.3~5.5%)

📌 한 줄 요약

  • IRP는 세액공제 + 퇴직금 운용이 가능한 만능 연금 계좌
  • 직장인이라면 가입 가능
  • 연금저축 먼저 시작, 그 다음 IRP로 확장하는 전략 추천

🏷️ 관련 태그

#IRP #개인형퇴직연금 #연금저축펀드비교 #세액공제한도 #연말정산절세 #직장인연금 #프리랜서세테크 #노후준비 #퇴직금운용 #연금계좌우선순위

반응형